본문 바로가기
  • 아직 어린 것 같은데 벌써 서른? 서르니의 재테크와 부업 그리고 일상을 공유합니다.
728x90

백석현3

미국 주식에만 투자해도 괜찮을까? | 한국 증시 vs 미국 증시 | 신흥국 투자 | 중국 투자 나는 대부분의 투자 금액을 미국장에, 일부를 국내장에 투자하고 있다. 김단테의 을 읽으면서 투자 지역을 한정하는 것 리스크일 수 있으며 모든 자산을 보유하여 '자본주의'에 투자하라는 문구가 인상적이었다. 그렇다면 다른 책에서는 국가별 투자에 대해서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을까? 백석현 님의 에서 내용을 발췌해본다. 1. 미국 주식에만 투자하는 것이 맞을까? 최근 10년 간 미국 주식이 아웃퍼폼했던 것은 사실이다. 우리는 최신 효과로 미국 시장이 우월하다는 인식이 부지불식간에 생기기가 쉽다. 하지만 지난 10년 간 달러화가 대체로 강세를 보이며 미국 주식이 좋았다고 해서 앞으로도 강달러가 유지되며 미국 주식장이 더 좋을 것이라고 예단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미국장과 한국장의 성과를 구글링해보니 위와 같은 그래프.. 2022. 8. 5.
달러화가 하락하면 미국 자산을 팔아야 할까요? | 달러 약세기 투자처 1. 경제가 회복되는데 수익률이 떨어진다고요? 김동주(김단테)의 책 에서는 자산 분산을 강조하며 백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그 결과를 보다보면 흥미로운 지점이 있다. 최고의 수익률을 보여준 해는 IMF 97년, 서브프라임 금융 위기를 겪었던 2008년 등이다. 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화 기준 수익률이 높게 나온 것이다. 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최악의 수익률은 최고의 수익률 다음 해에 이어졌다. 포트폴리오의 수익률과는 상관 없이 환율이 다시 정상궤도로 돌아오면서 손실이 누적된 것이다. * 원화 기준 올웨더 포트폴리오 백테스트 결과 - 기간 : 1926년~2019년 - 연평균 수익률 : 9.24% - 연간 변동성 : 20.45% - 최악의 해 5년 : 1998년 (-16.10%), 2009년 (-7.36%.. 2022. 8. 4.
달러는 왜 악재에 폭등할까? | 달러 인덱스 | 달러 투자 | 캐리 트레이드 올해 들어 달러가 폭등하면서 달러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많았다. 참 재미있게도 사람들은(나 포함;) 달러가 쌀 때는 관심을 가지지 않다가 비싸졌다고 하면 '지금 달러에 투자를 해도 될까?'하고 고민을 시작한다. 똑같은 고민을 갖고 달러를 이리저리 살피다 라는 다소 단언적인 제목의 책을 알게 되었고 이 책을 통해 알게된 달러의 성격을 정리해보겠다. 1. 왜 악재가 터지면 달러화가 폭등하나요? 이번 장을 겪은 사람들은 누구나 알 것이다. 달러는 악재 속 보험 같은 존재란 것을. 그럼 도대체 왜 달러가 악재에서 폭등하는 것일까? 달러는 기본적으로 거래가 자유로운 국제통화인 동시에 저금리 통화이다. 따라서 달러를 빌려서 다른 곳에 투자하기 위한 일종의 funding 통화로 많이 활용된다. 즉, 달러화 매.. 2022. 8. 3.
728x90